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16년 서른 막바지, 재테크 점검

by Creative We 2016. 12. 5.
반응형


휴가를 내긴냈는데 마땅히 할 건 없고.. 

각종 재테크 책 사다가 집에서 읽기

문득, 너무 보수적으로만 모으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

'15년 1월 이후 2년간의 재테크 점검 및 향후 계획



☞ 2015년

목표 금액 : 2000만원 / 달성금액 : 2000만원


1월 취업 3개월간의 수습 기간 중, 첫 한달치 월급은 엄마 드리고 둘째달 월급부터 모으기 시작

월급은 세후 300초반(성과금, 기타보너스 제외)

최초 계획 : 적금 100 +50 / 주택청약 10 / 펀드(여유자금 자유적립식으로)


But, 2015. 12월 결과

- 적금 : 150*10 = 1500

- 주택청약 : 52만원(10만원씩 초반에 넣다가 펀드 추가 구입위해 주택청약 줄이고 넣었는데, 결과적으로 아쉬운 점 중 하나

=> 펀드 10~20까지 늘렸으나 수익률 미미하여 해약, => 예금 or 주식으로 이동

- 펀드 : 200이내

  : 현대 계열사 중소형주 => 초반 수익률이 좋아 10% 이상이었으나, 이후 곤두박질 결국 손해 20만원 이상 본 듯

  : 공모주 펀드 => 은행친구 추천으로 넣었는데 수익률이 거의 없었던 펀드. 타 운용사가 진행한 공모주 펀드는 5%이상 수익률 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

- 주식 : 100 / SK하이닉스 36,500원 25주 매수

- 예상치못한 성과금 발생시 70%이상 통장에 저축


☞ 2016년

목표 금액 : 4000만원(기2000+2000=4000) / 달성금액 4200(E)


Now, 11월25일

- 적금 : 150*21 = 3150

- 주택청약 : 106(다시금 월 10만원으로 확대)

- 예금 : 100

- 주식 : 118(SK하이닉스 43,900원 매도 19%수익률 달성, + 소소하지만 작년 배당금)

- 증권통장 : 400 (야금야금 모은 돈들, 2016년 배당일 앞두고 주식 매수예정)

- ISA : 1만원(ㅎㅎ)

- 펀드 : 채권 위주의 펀드 수익률 -1% 두 개 합해 : 155


12월 월급에서 적금 + 주택청약 + 저축 추가 200(E)




잘한 점

  • 월급의 반 이상을 적금으로 넣어, 과소비 없이 돈 모은 점
  • 적금 이상으로 돈을 모을 수 있을 시 추가 펀드, 주식 매입, 차곡차곡 예금 늘린 점(월급의 1.5배 이상)
  • 직접 투자(주식거래) 시작하고, 적은 돈이지만 19%가량의 수익을 올린 점


아쉬운 점

  • 어설픈 펀드 4개 중 하나도 돈을 벌지 못함(펀드는 거시적인 시장상황이 크게 수익률을 좌우, 큰 돈을 잃을 염려는 없지만, 큰 돈을 벌기도 어려움. 어느정도 리스크를 감안하더라도 직접 투자를 하는게 낫다고 생각) Or 정말 소규모 자금으로 어림없는 투자라던지 많은 정보가 필요한 투자방법이 필요한 경우 해당 펀드를 가입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 : 공모주 펀드 등)


향후 목표


2017년, 마지막 날까지 추가 3000만원 만들기(총 7,000)/ 2018년, 32살 마지막 날엔 목돈 1억 만들기



Problem : 현재 월급 상승에는 한계가 있고, 때문에 버는 돈 모으는 것만으론 한계가 있음

차량 보험료 및 유지비/ 어머니 용돈 30 등이 지속적 비용으로 발생


Solution :

  1. 기존 소비 내역 월별, 일별 다시금 검토 불필요한 비용 줄이기,
  2. 성과금, 자기계발비 등 발생시 꼭 필요물품을 소비하는 것 이외에는 투자금으로 활용
  3. 적금 만기까지 유지하여 2.75% 이자 획득(이자 : 160만원 가량)
  4. 여유자금을 주식, 펀드에 투자하여 비활성 소득 창출(주가 차익, 배당금 등)
  5. 자동차 안전, 방어 운전으로 무사고 달성 => 보험료 낮추는 효과/연비 아끼는 효과
  6. 어머니 용돈 30은 비용보단 투자개념. 잊지 말고 매달 챙기기
  7. 경제 신문 읽으며, 주식과 시장엔 항상 관심을 가지고, 부동산 공부 시작



반응형

댓글

Creative W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